호팍이
article thumbnail

코드스테이츠에서 구글 캘린더를 이용해 일정을 세세하게 짜주었기 때문에 잘 따라가기만 하면 될 것 같다.

공부는 대부분 미리 올려주신 강의와 개념들을 혼자 공부하고, 날마다 매칭되는 페어와 함께 문제는 푸는 방식이다.

페어가 랜덤으로 뽑히는지라 매번 다른사람과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친구가 많이 생길지도 ..!

또한 종합퀴즈를 혼자 풀어보고, 뒤에 강사(?)분이 줌을 통해 한 문제씩 설명을 해주시는데 세세한 설명 덕분에 알고있던 내용일지라도 더 깊게 배울 수 있었다.  

 

2일차에는 변수, 타입, 함수에 대해 배웠다.

 

● 변수

 

컴퓨터에는 데이터를 위한 보관함이 존재하는데, 이를 메모리라고 한다. 보관함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고 이때 보관함의 이름을 변수라 한다. 즉 데이터의 이름표이다. 변수를 이용해 보관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보관함을 만드는 것인 선언(declaration)을 통해 변수를 만들고,

변수 선언

보관함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할당(assignment)을 한다.

할당

선언과 할당을 동시에 할 수도 있다.

name으로 변수 선언 한뒤 'kim'으로 할당
할당으로 인해 name의 값이 'kim'으로 되었기 때문에 나오는 결과 값은 kim이 된다.

변수는 동일한 변수를 이용해 대입할 수 있다.

수학적으로는 말이 안되지만 대입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하면 1+2, 3+3, 6+4로 결국 값은 10이 된다.

 

● 타입

 

자바스크립트의 타입에는 원시 값과 객체로 나뉜다.

 

원시 값

 

참, 거짓을 나타내는 boolean 타입

어떤 값을 의도적으로 비어있음을 나타내는 Null 타입

할당되지 않은 값을 나타내는 Undefined 타입

배정밀도 64비트 이진 형식 IEEE 754 값(-(2^53 − 1)부터 2^53 − 1까지의 수)을 나타내는 Number 타입

Number 타입보다 큰 수를 나타내기 위한 BigInt 타입

문자열을 나타내는 String 타입

 

객체

컴퓨터 과학에서의 객체란 식별자로 참조할 수 있는 메모리 상의 값을 말한다.

JavaScript에서의 객체는 속성의 컬렉션으로 볼 수 있다. 
객체 리터럴 구문을 사용해 제한적으로 속성을 초기화할 수의 있고, 그 후에 속성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도 있다.  
속성 값으로는 다른 객체를 포함해 모든 타입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자료구조의 구축이 가능하다. 
속성은 '키' 값으로 식별하며, 키 값으로는 문자열 값이나 심볼을 사용할 수 있다.

 

 

● 함수

함수는 코드의 묶음으로 즐겨찾기 버튼처럼 필요할 때 마다 사용할 수 있고, 작은 기능의 단위이다. 또한 함수는 구체적인 입력값과 출력값을 가질 수 있고, 호출(return) 후에는 반드시 돌아온다.

 

함수 변수를 선언(cal)한 뒤, 호출을 통해 부를수 있다. 또한 param1, param2는 매개변수(parameter)로, 호출할 때 인자의 값(10, 20)으로 바뀐다. 최종적으로 result의 값이 리턴값으로 바뀐다.(10*10)

 

함수를 선언하는 방법에는 함수 선언식, 함수 표현식, 화살표 함수로 세 가지가 있다.

 

함수 선언식
함수 표현식
화살표 함수(소괄호는 사용가능하지만 중괄호는 사용 불가능)

'코드스테이츠 > section1'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 flex  (0) 2022.05.27
CSS 기초  (0) 2022.05.25
HTML 기초  (0) 2022.05.25
반복문  (0) 2022.05.24
조건문  (0) 2022.05.24
profile

호팍이

@호팍이네